-
49제 계산 방법과 49제 49재 무엇이 맞을까요?카테고리 없음 2023. 3. 18. 17:50반응형
49제 계산 방법 49제 49재 무엇이 맞을까요? 장례를 치르고 나서 49제 날짜를 계산하려면 정말 헷갈려요. 이걸 어느날 부터로 계산해야 하는지 등등 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49제 계산 방법과 49제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등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1. 49재란?
우선 49제 49재 둘중에 어떻게 맞는 말인지부터 확인해볼께요. 사실 49제나 49재 모두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지만, 49제가 아니라 49재가 맞는 말입니다. 저도 제목에 49제라도 쓴 이유가 실제로는 49제로 알고 계신분들이 더 많아요.
발음상으로 49재와 49제는 차이가 없고, 제사 의식이라고 여겨져 49제라는 표현이 많이 쓰이나, 49재가 맞는 표현입니다.
49재는 불교에서 행하는 예식으로, 망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고인의 기일부터 7일마다 7회에 걸쳐 행하는 불교의식에서 온 것입니다.불교에서는 사람이 사망하고 49일 째 되는 날 염라대왕의 심판을 받아 다음 생이 결정된다고 여겨 49일째의 예를 크게 지낸다고 합니다. 원래는 절에서 49재 예식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 이유입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불교를 믿는 가정이 아니더라도 49재 날짜에 제사를 지낸 후 탈상을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죠. 즉 49재를 특정 종교(불교)의 의식이라기 보다는 탈상의 마지막 절차라고 여기고 있는 것이죠.2. 49재 계산 방법
49재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부터 49일째 되는 날입니다. 가장 쉬운 계산법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사망진단서의 사망일자)부터 7주 가 되는 날에서 하루를 빼시면 됩니다.예를 들어, 2023년 1월 2일에 돌아가신 분의 49재 날짜는 7주 후에서 하루를 뺀 날짜인 2월 19일이 됩니다
그리고 추모원등에서 제공하는 49제 계산을 하도록 도와주는 49재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좀더 편리합니다. 아래 돌아가신 날을 입력하면 7주가 되는 날의 하루 전날로 계산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내용과 동일합니다.
49재는 불교 신자라면 절에서 불교식으로 지내시고, 신자가 아니신데 격식을 갖추고 싶다면, 일반 제사상 차리듯 준비하셔서 집이나 산소 등지에서 지내시면 됩니다. 그렇지 않은 분들은 위에서 언급한 음식을 간단하게 준비하셔서 성묘하듯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요.
49재는 우리나라 전통 풍습도 아니고 유교식 법도도 아니고 불교의 천도재 의미이기 때문에 불교신자가 아닌이상 지내지 않아도 문제 될 것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장례의 탈상의 의미로 49제를 이해하고 하시는 것 같아요. .반응형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