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 조건 가입방법 그리고 혜택카테고리 없음 2023. 4. 26. 07:40반응형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 조건 가입방법 그리고 혜택 소득공제 혜택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요즘 소득공제가 가능하나 금융상품이 있더라구요. ㅂ로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제도입니다.
요즘 청년들을 위한 지원 정책이나 제도가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로 그 중 하나입니다. 이 펀드는 청년층의 건전한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 진 제도입니다.
펀드로 수익을 낼 수도 있지만, 소득공제 혜택이 가장 마음에 들어요.
오늘은 지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납입 금액의 40%를 소득공제
청년형 장기펀드는 납입 금액의 40%를 소득공제 받으실 수 있는 펀드입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소득공제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납입한도 및 가입 기간이 정해져 있지만 그걸 감안해도40% 소득공제 받으면 정말 좋겠네요.
세금환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고려해볼만한 옵션입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증권사, 금융사를 통해 가입 할 수 있어요. 각 회사마다 취급하는 펀드가 다르기 때문에 포트폴리오나 보수 등을 잘 비교해 보시고 선택해서 가입하시면 됩니다.
가입 대상 : 만 19세 ~ 34세 청년만 가입 가능
청년을 위한 제도이기 때문에 가입 대상도 만 19세 ~ 34세 청년만 가입 가능해요. 단, 34세를 초과하더라도 병적 증명서를 제출하는 경우 군복무를 최대 6년까지 인정 받아 가입하실 수 있어요가입 기간은 3년 이상 5년 이하
가입 기간은 3년 이상 5년 이하입니다. 기본적으로 3년동안은 의무 유지기간에 해당되기 때문에 해지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요.
납입한도 : 전 금융기관 합산해서 연 600만원 이내
납입한도는 전 금융기관 합산해서 연 600만원 이내로 가입 가능해요. 3년동안 풀로 납입했다고 가정한다면 총 1,800만원 납입하고 소득공제 720만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해당 펀드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소득기준도 충족해야만 합니다. 근로소득 기준으로는 직전연도 총 급여액 5,000만원 이하어야 하며, 종합소득 기준으로는 직전연도 3,800만원 이하여야만 가입 가능합니다.
만약 가입자가 5년간 연 600만원씩 청년펀드에 납입하면 총 납입금액 3000만원의 40%인 1200만원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세율 16.5%(과세표준 연소득 1400만∼5000만원 구간)를 적용하면 최대 5년간 198만원의 세금을 돌려받는 셈이다.
중도해지 : 총 납입금액의 약 6.6% 추징
중도해지 하는 경우의 불이익입니다. 의무 유지기간인 3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 하는 경우 총 납입금액의 약 6.6% 추징될 수 있습니다.
단, 특별중도해지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불이익이 없습니다.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천재지변 등)
2. 운용사들 청년펀드 출시 러시 - 소득공제 혜택으로 MZ 타케팅
자산운용사들이 잇달아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이하 청년펀드)를 내놓고 있습니다. 납입금액의 4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MZ'(1980년대~2000년대 초반 출생) 세대를 공략하고, 침체된 공모펀드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KB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 등이 잇달아 청년펀드를 출시했다.
청년펀드는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금융상품이다. 오는 12월31일까지 가입할 수 있다. 가입 대상은 연간 급여액이 50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이 3800만원 이하인 만 19∼34세 이하의 청년이다.
▶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반도체·2차전지 등 IT(정보기술) 업종과 인터넷·소프트웨어 등 성장주에 집중 투자하는 '미래에셋코어테크 청년소득공제' 주식형 펀드, 우량 기업 우선주·고배당주·채권·옵션에 투자하는 '미래에셋 배당프리미엄 청년소득공제' 주식혼합형 펀드, '미래에셋장기포커스 청년소득공제' 주식형 펀드 등 3종을 출시했습니다.
▶ 신한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은 '신한k컬쳐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 '신한스마트인덱스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 '신한얼리버드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 '신한코리아롱숏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 등을 판매 중입니다.
▶ KB자산운용
KB자산운용은 'KB 지속가능 배당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지속가능 배당 50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한미 대표성장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한국 인덱스 50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등 4종을, 한화자산운용은 '한화 MZ픽 그린테크', '한화 MZ픽 한국&K리츠', '한화 MZ픽 한국&아시아', '한화 MZ픽 한국&미국', '한화 MZ픽 한국4차산업혁명' 5종을 출시했습니다.
이외에도 NH아문디자산운용, IBK자산운용, 트러스톤자산운용 등도 관련 상품들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너무 많아서 3개 업체 대표상품들만 소개드렸어요.
그동안 세액공제 상품은 있었지만,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펀드 상품은 흔치 않았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 인기를 끌었듯 청년펀드도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년펀드는 주택종합저축을 제외하면 소득공제가 가능한 유일한 펀드입니다. 대부분의 금융상품은 세액공제이고, 소득이 공제된 금액에서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기 때문에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모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청년펀드의 경우 소장펀드에 비해 상품이 다양하고, 투자 기간이 5년으로 짧기 때문에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좋을 수 있습니다.
3.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결론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조건, 혜택을 보면 소득공제만으로도 고려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 같습니다. 펀드의 특성상 분산투자가 되고, 의무 유지기간으로 인한 장기투자로 인해서 투자수익도 얻을 수 있으니까요.
소득공제로 기본적인 세금 환급으로 수익을 얻고 투자 수익률까지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 같아요.
청년대상 청년형 장기펀드, 청년도약계좌 등 다양한 투자 수단도 있으니 본인의 미래 현금 흐름과 절세 한도 등을 파악한 후 적절히 분산하여 투자한다면 자산 증식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