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뜻과 관련주 향후 전망과 정책 영향카테고리 없음 2023. 1. 21. 10:22반응형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뜻과 관련주 향후 전망과 정책 영향 인수위가 미래 모빌리티 UAM 육성 국정과제로 선택했습니다. 이동 혁명 모빌리티 UAM을 2025년 상용화 목표로 한다고 하네요.
인류가 도보에서 말 그리고 마차등을 거치고 자동차도 여러세대를 거치면서 발전해보는 동안 문명은 이동 수단의 혁명에 따라 문명 흥망성쇠에 영향을 받아왔죠.
농업문명 시대에는 마차가 주 이동 수단이었지만 20세기 초 포드가 자동차 대량생산 시대를 열며 세계 문명은 대륙에서 하나로 이어 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늘을 나는 비행기가 개발 되면서 인류의 문명사는 획기적은 글로벌 원 시대가 되었고 우주선까지로 발전해왔습니다.
이제는 도로가 아닌 하늘에 새로운 이동수단을 만들려고 하네요. 전 세계는 새로운 도심항공모빌리티 (UAM) 이동 혁명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일어나고 있네요.
그런 의미에서 인수위는 이동 혁명으로 불리는 모빌리티 UAM 분야를 적극 육성하는 국정 과제로 선정한 것 같습니다.
2025년에 국내에서는 관광, 공고 서비스에 시범적으로 수직이착륙 전기 동력 비행체로 이동 혁명이 시작 될 것으로 전망 되는 가운데 이와 관련한 UAM관련주들과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UAM 뜻
UAM 뜻은 Urban Air Mobility의 약자로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뜻합니다. 드론 택시, 로봇 택시, 플라잉카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으며, 하늘을 떠 다니는 모든 운송수단들을 뜻합니다.
말그대로 UAM뜻을 해석해보면 도시안에서 하늘로 날아다기는 모빌리티라는 뜻이죠.
배터리, 모터, 로봇, 5G등 관련된 부가산업이 많기 때문에 제조업이 발달한 한국에서도 차세대 미래 먹거리 산업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현재는 해결해야할 과제로 배터리의 소형화와 안전성 그리고 인구밀집지역에서 이착륙 장소등이 고려되고 있습니다.2. UAM(Urban Air Mobility)에 대한 기본이해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은 몇가지 기본 시스템 구성이 필요하고 UAM을 활용하기 위한 기반시설도 필요합니다. 간략히 UAM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서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했습니다.
▶ 로터라는 바람개비 형태의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비행합니다.
▶ 고도 600m 이하 (300~600m)의 빌딩 위를 비행합니다.
▶ 도심 내 30~50km 정도 거리를 이동하는 항공 대중교통수단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 내연기관이 아닌 전기 동력을 활용함 → 탄소 배출이 줄어들고 매우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입니다.
▶ 4~5명가량 태울 수 있음
▶ Battery 재충전 예상 소요 시간 = 5~7분
▶ 최대 데시벨 = 60dB 이하로 낮춰 일상 대화 소음을 조금 웃도는 수준으로 쾌적한 운행 가능해야 한다.3.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수혜주
UAM개발관련하여서는 국내 대기업으로는 현대자동차와 한화시스템이 가장 앞서 있습니다.
그외에 UAM 관련주들이 정책발표후 일제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베셀, 기산텔레콤, 네온테크, 퍼스텍 등의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 베셀
베셀은 UAM, 유·무인기, 항공부품 등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UAM 관련 핵심 수혜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2. 기산텔레콤
기산텔레콤은 중계장비 전문업체인 동시에 무인항공기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퍼스텍
퍼스텍은 국토교통부가 UAM 상용화 서비스 운용전략을 위해 마련한 UAM 팀코리아에 초청기관으로 참여한 이력이 있는 기업입니다.
4. 네온테크
네온테크는 드론 핵심기술 특허 4건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드론 사업부는 산업용 드론시장 선점을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해왔으며 드론 핵심기술인 멀티드론, 자동비행,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기술 및 하드웨어(H/W) 설계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기업입니다.4. UAM향후 전망
다음 달 출범하는 새 정부는 전기·수소차,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운송수단)를 육성을 국정과제로 삼고 제도, 인프라 등을 전방위 혁신한다고 합니다.
UAM 상용화는 국정과제로 반영해 중점 추진하고 이를 위해 UAM 실증과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민·군 겸용 기체(AAV·Advanced Air Vehicle) 등 핵심 기술개발을 지원예정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아직 해결되어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있습니다.
▶ 고성능 자율주행기능이 있어서 비행체들의 충돌을 방지하고 운항할 수 있어야 합니다.
▶ Massive data를 처리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술과 무인 기반 도심 항공관제 시스템 확보 필요합니다.
▶ UAM만을 위한 소형 터미널을 구축해야 합니다. 아무리 모빌리티라고 해도 결국은 비행체라서 공항만큼은 아니라도 터미널이 있어야 합니다. 이부분은 막대한 비용과 부동산을 필요로 합니다. 도심 도심 한복판에 이런 공간을 여러군데 찾아야 하는 문제점들이 있는거죠.반응형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