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PTP 종목 세금폭탄 - 주식 매도 양도소득세 중복 세금카테고리 없음 2022. 12. 22. 21:26반응형
미국 PTP 종목 세금폭탄 - 주식 매도 양도소득세 중복 세금 2022년 미국 주식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는 와중에도 ‘나홀로’ 강세를 보인 업종이 있습니다. 바로 석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 관련 종목들입니다. 올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세계 최대 에너지 수출국인 러시아발 원유와 천연가스 공급이 줄면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한 결과죠. 거기다가 코로나19 대유행이 잦아들면서 에너지 수요가 증가한 점도 있어요
‘투자의 대가’ 워렌 버핏의 투자회사 버크셔해서웨가 올해 3분기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종목 3위에 오른 에너지·화학 기업 셰브론은 올해 초에 비해 41.5% 올랐습니다. 버핏이 올해 상반기 많이 사들였던 옥시덴탈 페트롤리움의 주가는 연초대비 101.32% 뛰며 2배 넘게 상승으니까요.
그래서인지, 국내 투자자들도 에너지 기업이나 상품에 투자를 많이 했죠. 그런데 이제는 에너지주에 대한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2023년 1월 1일부터 미국 정부가 원자재,에너지 상장지수상품(ETP) 등 공개거래파트너십(PTP) 종목에 대해 10%의 세금을 원천징수할 한다고 합니다.. PTP 대상 종목을 매도하는 외국인투자자(미국 비거주자)는 수익률과 상관 없이 매도 금액의 10%를 세금으로 때린다고 합니다. 정말 허걱이네요.그래서 오늘은 미국 PTP종목과 세금관련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1. PTP종목이란?
미국 정부가 내년부터 PTP(Publicly Traded Partnership) 종목에 투자한 외국인 투자자들에 10% 세금을 원천 징수하기로 하면서 국내 투자자들에 미치는 영향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PTP 종목에는 미국 정부가 지정한 금융자산으로 원유, 가스, 부동산 관련 기업과 이들 종목에 투자하는 ETF 등 200여개가 포함됩니다..미국 PTP과세 이유 가격 변동성이 큰 원자재 관련 상품에 대한 외국인투자자의 ‘단타’(짧은 시간 내 매도)를 막겠다는 취지라고 하네요. 문제는 차익이 아니라 매도 금액의 10%를 세금으로 내야 하기 때문에 손실을 보더라도 세금은 내야 합니다. 또 PTP 종목들이 수시로 변동될 수 있다는 점도 투자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입니다.
증권업계에서는 세금 등을 감안하면 15% 이상의 수익을 낼 것으로 기대되는 종목이 아니라면 연내에 정리할 것을 권고합니다.2. PTP종목 리스트
국내에서 가장 많이 투자한 종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는 200개 PTP종목 리스트입니다.
3. PTP 세금은 양도소득세와 중복 과세
국내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PTP 종목의 무서운 점은 양도소득세와 중복 과세가 된다는 걸 이미 말씀드렸죠. PTP 종목에 1억원을 투자하여 1억 1천만원의 수익을 얻을 경우 매도 금액의 10%인 1,100만원이 세금으로 부과됩니다. 그리고 순이익에 대한 1천만원의 경우에는 양도소득세(연간 기본 250만원 공제) 22%가 적용되어 165만원이 추가 과세가 됩니다.
표면상으로는 1억원을 투자하여 1천만원을 얻은 것처럼 보이지만 PTP 세금 + 양도소득세를 제외하고 나면 97,350,000원이 남게 되므로 손해를 보게 되는 구조입니다.4. PTP 대체상품
증권업계는 국내 ETN 상품들이 당분간 PTP 과세 영향을 받지 않을 대체수단으로 보고 있습니다. ETN은 선물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고 있어 과세 대상에 해당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벌써부터 국내 ETN 상품을 찾고 있어요. 미국의 조치가 발표되기 전인 10월 ETN 일평균 거래대금은 3,200억원 수준이였지만, 11월에는 3,840억, 그리고 12월 초부터 중순까지 3,850억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증권가는 PTP 상품의 대체수단이 될 천연자원 ETN가 대체 투자처로 뜨고 있습니다.5. 언제까지 팔아야 세금 폭탄을 피할 수 있을까?
미국 정부가 내년부터 PTP(publicly traded partnership)에 포함된 종목을 파는 외국인에게 매도 금액의 10%를 세금에 양도소득세까지 세금 폭탄이죠. 이러한 과세를 피하려면 해당 종목을 연말까지 팔아야 하니다. 구체적으로 매도 주문은 27일까지 내서 29일 주식이 팔려나가야 합니다.
반응형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