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학개미이후 ETF 불개미들 출현!!주식신공 2020. 4. 16. 14:44반응형
요줌 코로나19 사태이후 많은 개미투자자분들의 주식투자가 삼성전자등 국내 주식의 하락을 방어해었죠. 물론 개민투자분들이 사신 주식이 다른 낙폭과대종목대비 상승폭이 작은 것도 사실입니다. 아마도 개인이 많이 산 종목들이 장기적으로는 상승할 여지가 많지만, 단기적으로는 쉬워보이지 않아요.
그래서 다른 대안으로 불개미 투자분들의 ETF투자가 장난아니예요. 레버리지를 활용한 투자로 홀짝 게임을 하고 계신 분들이 많으신것 같아요. 현재 시장 상황을 잘 판단하시고 원칙을 가지고 투자하셔야 할것 같아요.
정답을 알고 있는 사람은 없어요. 신도 모르는게 주식이니까요. 더구나 홀짝 게임을 하시는 분들은 더더욱 자신만의 기준과 시장상황을 잘 파악하셔야 겠어요.
많은 분들이 미국 선물지수나 외환지수를 보고 다음날 ETF의 방향을 잡는 분들이 많아요. 이나마도 없이 감으로 하시는 분들도 있구요.
저는 외환지수가 미국 선물지수보다는 조금더 국내 현실에 맞는것 같아요.. 외환의 방향이 국내로 유입이나 유출이냐로 다음날 지수의 방향이 한동안은 정확할 것 같아요.
그래도 모든 판단은 스스로 하시고 자신만의 기준으로 판단하시는게 좋아요. 그리고 현금을 보유하고 계신것도 돈을 버는 방법이네요.
현금이 있으면 때가 되었을 때 투자가 가능하니까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불타오르고 있다. 코스피 거래대금의 3분2에 육박하는 평균 7조원 가량의 자금이 매일 오간다. 신용거래까지 불사하며 ETF 거래에 뛰어드는 투자자들도 상당하다. "동학개미 위에 ETF 불개미가 있다"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ETF 거래의 명과 암을 살펴봤다.
ETF(상장지수펀드)의 인기비결은 투자가 쉽다는 점과 화끈한 수익률이다. 인덱스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성격이 있어 어떤 주식을 사야 하나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하루에 50% 넘게 화끈한 수익을 내기도 하니 불개미 성향에는 제격이다. 매매차익 비과세 등 세제 측면에서도 주식보다 낫다는 얘기가 나온다.
1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증시에서 ETF 일 평균 거래대금은 6조857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평균(1조3332억원)보다 5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ETF 거래대금은 주식과 비교해도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3월 코스피에서는 하루평균 10조967억원이 거래됐는데, 이와 비교하면 ETF 거래대금은 67.9%에 달한다.
ETF 거래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개인 투자자들이다. 3월 중순부터 투자규모가 급속도로 늘어나더니 하루에 적게는 3조원에서 많게는 6조원에 육박하는 매수를 기록할 정도로 참여도가 높다. 외국인도 주식 헷지 등을 위해 ETF 매매를 많이 하지만 개인보다 금액이 작다.
ETF시장에는 현재 451개 종목이 있는데 이 가운데 수익률 변동 폭이 큰 레버리지 ETF와 주가하락이나 유가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 상품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3월 ETF 거래액 가운데 81.0%를 기록했다. 시장 대표주에 투자하는 ETF는 13.6%였고 채권에 투자하는 ETF 역시 1.9%에 불과했다. 나머지 ETF는 거래대금 비중이 1% 미만이다.
거래가 활발한 종목으로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 (7,235원 보합0 0.0%) △KODEX 레버리지 (9,545원 보합0 0.0%) △KODEX 200 (25,165원 상승5 0.0%)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7,205원 상승285 4.1%)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 (7,455원 상승150 -2.0%) △KODEX 인버스 (7,120원 상승5 0.1%) △KODEX 코스닥 150 (9,860원 상승200 2.1%) △TIGER 200 (25,180원 상승20 0.1%) △TIGER 200선물인버스2X (7,440원 상승5 0.1%) △KBSTAR 단기통안채 (103,625원 상승15 0.0%) 등이 있다.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는 코스피200 선물지수가 하락하는데 투자하는 상품인데, 일반 인버스 상품보다 가격변동이 2배 높다. 코스피지수가 9% 넘게 폭락했던 3월19일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는 하루에 무려 4억9326만좌, 6조992억원이 거래됐고 가격은 13.25% 상승했다.
같은 날 코스피200 지수가 상승하면 수익을 낼 수 있는 KODEX 레버리지 코스피 ETF 역시 2조2454억원 가량 거래됐다. '동학 개미'들의 주식매입이 시작됐을 때 이미 불개미들은 ETF 시장에서 한참 플레이하고 있었다는 얘기다.
두 ETF 종목의 거래대금을 합하면 당일 삼성전자 거래대금(2조5029억원)의 3.33배에 달한다. 이러다 보니 ETF 물량에 씨가 말라 유동성 공급자인 증권사들(LP)이 매일 같이 ETF 공급물량을 늘려야 하는 처지다.
상장 ETF는 지난해 연말보다 1개 종목 늘어난 451개인데 발행좌수(발행주식과 같은 개념)는 3조1940만좌에서 3월 기준 3조6490만좌로 14% 늘었다. LP들은 3월에 3조2392억원의 ETF를 새로 찍었고 4월에도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이 ETF에 열광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일반 주식시장에선 주가가 빠질 것을 예상해도 기관이나 외국인처럼 공매도 거래를 하기가 무척 어렵다. 반면 ETF는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 상품이 많다. 선물옵션처럼 전문 투자자 교육을 받지 않아도 매매가 가능하다. 여기에 수익률도 화끈하다.
국제유가 하락에 베팅하는 KODEX WTI원유선물인버스(H)는 1월 6일 1만1300원에 불과했는데 2월 말에는 1만5710원으로 치솟았고 3월 말에는 2만6620원으로 더 상승했다. 3월 한 달 간 69.5%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비슷한 상품인 TIGER 원유선물인버스(H)도 68.7%의 수익을 냈다. TIGER 의료기기와 ARIRANG KRX300헬스케어, KODEX 헬스케어 등도 3월 폭락장에 20% 안팎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EFT는 주식처럼 신용매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레버리지 효과가 더해지면, 운용하기에 따라 하루에 원금대비 60% 이상의 수익도 가능하다. 물량부족 상태인 ETF는 어렵지만 아직도 신용거래가 가능한 종목들이 많다.
대표적으로 코스닥 지수 하락에 베팅하는 KODEX 코스닥150 선물인버스 ETF는 3월 23일 1116억원을 포함해 최근 15일간 9642억원이 신용으로 거래됐다.
ETF는 가격 변동 폭이 큰 만큼 큰 수익을 볼 수도 있으나 쪽박을 찰 가능성도 무척 높다. 국제유가 하락에 베팅하는 ETF는 70%에 가까운 수익을 냈지만 반대로 유가 상승에 베팅하는 ETF는 반 토막 났고 해외증시에 투자하는 ETF도 수익률이 좋지 못했다.
반응형'주식신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가 달리니 2차전지 관련주, ETF 함께 고공행진 (0) 2020.05.25 키움증권, SGX 싱가포르 거래소 오픈했어요 (0) 2020.05.18 3월13일 블랙프라이데이에 배우는 서킷브레이커 (0) 2020.03.13 3월13일 블랙프라이데이에 배우는 사이드카 (0) 2020.03.13 2020년 첫 삼성전자 분기배당 주당 354원 (0) 2020.01.30 댓글